9개 과제에 대한 ‘2021년 전자정부지원사업 설명회’ 온라인 개최 | 2021.01.21 |
행안부, 국민의 디지털 생활을 열어갈 정보기술(IT) 기업을 찾습니다 [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지능형 국민비서 서비스 구축’ ‘정부24 생활맞춤형 연계 서비스 구축’ 사업 등에 대해 국민의 디지털 생활을 열어갈 정보기술(IT) 기업을 대상으로 사업설명회가 개최된다. 행정안전부는 21일 오후 2시부터 4시 30분까지 ‘2021년 전자정부지원사업 사업설명회’를 비대면 온라인 방식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 [사진=행안부] 이번 설명회는 2021년 추진되는 전자정부지원사업에 대한 사업별 추진 내용 및 발주 일정 등을 IT 기업과 공유함으로써 사업 이해도를 높이고 참여 확대를 유도하기 위해 마련됐다. 올해에는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온라인 영상 플랫폼을 활용한 비대면 온라인 설명회로 개최될 예정이다. ‘2021년 전자정부지원사업’은 인공지능·클라우드·빅데이터 분석 등을 활용해 전자정부 기반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대국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총 11개 사업과제에 645억원이 투입된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11개 사업 중 장기계속계약사업인 차세대 주민등록시스템 구축(3차)과 클라우드 기반 건축행정시스템 재구축(3차) 사업을 제외한 9개 사업과제의 추진 일정과 추진 현황이 상세하게 공개됐다. 아울러 코로나19 상황 지속에 따른 수의계약 요건 확대, 입찰공고 기간 단축 등의 국가계약법의 한시적 계약특례 기간 연장(~2021년 6월)과 ‘소프트웨어 진흥법’ 개정에 따른 제안요청 강화 등의 내용을 중심으로 전자정부지원사업 절차와 정보화사업 발주제도를 안내했다. 11개 사업과제는 △범정부 공통 인프라 조성 분야 5개와 △다수 시스템 융복합 분야 6개로 구성됐다. 인공지능 기반 대표사업으로는 지능형 국민비서 서비스 구축(2차)과 지능형 폐기물 안전처리 관리체계 구축(3차) 등이며, 클라우드 관련으로는 전자정부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3차)·클라우드 기반의 건축행정시스템 재구축(3차) 사업이 대표적이다. 빅데이터 관련 사업으로는 빅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디지털 증거 통합분석 플랫폼 개발(2차)이 등이 대표사업으로 꼽힌다. 특히 올해는 노후생활 지원, 장애인 지원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서비스 4종을 묶어서 한번에 신청·처리할 수 있는 ‘정부24 생활맞춤형 연계 서비스 기반 구축’ 사업이 신규 과제로 추가됐다. 서보람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정책관은 “지금은 인공지능 등의 새로운 기술을 통해 사회 전반에 대한 디지털 전환이 필요한 시기”라며, “이번 설명회를 통해 기술력을 보유한 역량 있는 기업들의 적극적인 사업 참여를 요청드린다”고 말했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