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의처


ㆍeGISEC : egisec@seconexpo.com
ㆍSECON : secon@seconexpo.com

ㆍ국외 : global@seconexpo.com

보도자료

중앙부처·지자체가 함께 전자정부를 똑똑하게 만든다 2018.11.20
행정안전부, 지능형정부 구현 위한 범정부 협의체 가동

[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지능정보기술을 적용해 전자정부를 더 똑똑하게 만드는 ‘지능형정부 로드맵 수립’을 위해 중앙부처, 지자체가 함께 머리를 맞댄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19일부터 20일까지 서울청사와 세종청사에서 중앙부처, 지자체 정보화담당 및 업무담당자 150여명과 함께 지능형정부 로드맵 추진 계획 공유 및 실행 과제를 논의하는 범정부 협의체를 발족했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9월부터 지능형정부 청사진을 제시하는 로드맵 수립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국민·학계 및 업계 등 민간 전문가로부터 지능형정부에 대한 요구 사항 및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전자정부 서비스를 일선에서 운영하고 있는 중앙부처와 지자체 공무원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지난 10월, 지능형정부 추진과제에 대한 수요조사를 실시했으며 37개 기관으로 부터 52개 과제를 제출받았다.

기관 수요 조사 결과, 과제 수가 가장 많은 분야는 행정 업무 및 법규 안내·민원 상담 등에 인공지능·빅데이터 기술을 적용한 대국민 민원 챗봇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국민생활·재난/재해·범죄 예방·시설물 등 사회 각 분야에 인공지능·IoT 등 지능정보기술과 CCTV 등 기반 인프라를 결합해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는 과제가 많았으며, 독거노인·취약계층 등을 위한 사회복지 분야와 국고보조 부정수급 방지 등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정부 업무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과제도 다수 제출됐다.

행정안전부는 이번 협의체 운영을 통해 각 기관에서 수요를 제출한 과제에 대한 실현가능성·법제도 제약 사항을 논의하는 한편, 기관별로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과제를 통합하고 여러 기관으로 확장이 가능한 분야 등을 집중 논의해 과제를 보다 구체화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학계·업계 등의 민간 전문가 자문을 통해 기관별 제출 과제를 보완하고, ‘국민생각함’과 ‘국민디자인단’을 통해 국민이 원하는 정부서비스에 대한 우선순위를 정해 단계별로 실행하는 방안을 지능형정부 로드맵에 담도록 할 계획이다.

정윤기 행정안전부 전자정부국장은 “지능형정부 로드맵 수립 과정에 전자정부 실무를 가장 잘 이해하는 업무담당자들이 참여하게 돼 실효성 높은 서비스가 발굴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무엇보다 정부가 향후 인공지능과 같은 지능정보기술을 행정 전반에 적용해 국민이 원하는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중앙부처와 지자체의 많은 관심과 협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eGISEC은 정보보호 및 정보화 솔루션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무료 사전등록